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김숙희1, 정경희2*

1혜전대학교 식품영양과, 2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Study on Food Hygiene and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Suk-Hee Kim1, Kyung-Hee Joung2*

1Dept of Food and Nutrition, Hyejeon College

2Dept. of Hotel Culinary and Catering Management, Chungwoon University

 

 

요  약  본 연구는 충남 지역 일반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을 알아보고 학교유형별 차별화된 식품위생안전교육의 필요성 제기와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일반 고등학생들은 특성화 고등학생들보다 유의적으로 식품위생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일반 고등학생들보다 특성화고등학생들이 유의적으로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쉽고,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학교유형별 차이 없이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조사대상자의 50.5%가, 가공식품에 대해서는 49.3%가 안전성이 그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40.7%, 매우 필요하다는 17.2%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특성화고등학생들(평균 3.17)에 비해 일반 고등학생(평균 2.81)들은 식품안전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고,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는 학생은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662),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50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고와 특성화 고등학생들이 식품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고르고, 다룰 자신이 있도록, 차별화된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ood hygiene and safety awareness of academic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characterization and demonstrate the need for differentiated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by type of school in the Chungnam area. This study shows that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ttach more importance to Food Hygiene and Safety tha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ut that the latter think it is easier get information about food safety and are more confident in choosing safe food than the former. Regardless of the type of school, 50.5% and 49.3% of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safety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processed food distributed for sale in the country is acceptable, respectively. 40.7% and 17.2%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school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and strongly required,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verage 3.17), th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average 2.81) responded that they did not receive sufficient food safety education. Those students who were confident in choosing safe food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ose who were confident in the hygienic handling of food (r = .662) and with those who have sufficient education on food safety (r = .504). We suggest that different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needed by academic an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ntil they have sufficient confidence in the hygienic choosing and handling of food.

 

Keywords : Food Hygiene, Safety awareness, Safety educ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chool type

1. 서론

전 세계가 자국의 해외시장 확보와 경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무역장벽을 허물어 세계 각국의 식품들을 소비하게 됨으로써, 식품위생안전관련 문제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 중요한 안전의식과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식품위생안전은 매일 섭취해야 하는 식품에 대한 위생 및 안전에 관한 내용으로 식품을 구매하고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식중독 사고와 같은 안전성 문제가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식품위생안전에 대한 인식이 필요할 때이다.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과 달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졸업 후 바로 취업으로 이어져 고등학교 때의 일반안전인식  및 식품위생안전은 산업현장의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 또한 전 세계가 자국의 해외시장 확보와 경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무역장벽을 허물어 세계 각국의 식품들을 소비하게 됨으로써, 식품위생안전관련 문제는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1,2].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육편중화로 실생활에 중요한 안전의식과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일부 고등학생들의 안전의식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고[3], 안전교육도 미미하다고 보고되었다[4].

식품위생안전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식품 위생 및 식품안전에 관한 연구[5,6,7,8,9]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식품 안전에 관한 연구[10,11,12], 중학생의 식품안전 인식에 관한 연구[13], 학생들의 연령별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14]등은 있지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고등학생의 식품위생 및 안전의식과 HACCP 인지도조사[15]외에 미미한 상황이다. 고등학교는 교육과정의 내용에 따라 일반 고등학교, 특수목적 고등학교, 특성화 고등학교 등으로 구분된다. 특성화 고등학교는「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1조에 의해 특정분야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또는 현장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학교로 요리, 제빵, 관광 등 다양한 직업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은 대학을 진학을 목적으로 수업을 하지만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실험 실습 위주의 수업을 많이 하고, 졸업 후 바로 취업할 수도 있어서 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충남 지역 일부 특성화 고등학교와 일반 고등학생들의 식품위생 안전인식을 비교, 살펴봄으로써 고등학생들의 식품위생 안전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충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6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설문지 조사법으로 이루어졌다. 학년 당 30명씩 설문지를 배부하여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일반 473명 특성화고 741명 총 1,214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이었다.


2.2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설문지 1,214부를 SPSS(ver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상관분석 등 통계처리 하였다. 식품위생안전인식에 관한 설문지는 선행연구들[14,15]의 문항을 참고하여 정리하여, Likert 5점 척도로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로 구성하였다.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성별에서 남학생이 50.9(618)%, 여학생이 49.1(596)% 이었고, 1학년 34.5(419)%, 2학년 39.5(479)%, 3학년 26.0 (316)%이었다. 설문지 응답자의 39.0%(473)는 일반 고등학생이었고, 61.0%(741)는 특성화 고등학생으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이 많이 표집 되었다. 거주지는 시 지역에 91.8%(1,114), 군 지역에 6.1%(74)가 거주하고 있었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in subjects

 

School type

total

Academic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gender

0.000

male

137(29.0)

481(64.9)

618(50.9)

female

336(71.0)

260(35.1)

596(49.1)

total

473

(100.0)

741

(100.0)

1,214(100.0)

residence

0.000

Metropolis

0(0.0)

15(2.0)

15(1.2)

Metropolitan City

1(0.2)

10(1.3)

11(0.9)

city

470(99.4)

644(86.9)

1,114(91.8)

county

2(0.4)

72(9.7)

74(6.1)

total

473

(100.0)

741

(100.0)

1,214(100.0)

grade

0.000

1st grade

174(36.8)

245(33.1)

419(34.5)

2nd grade

122(25.8)

357(48.2)

479(39.5)

3rd grade

177(37.4)

139(18.8)

316(26.0)

total

473

(100.0)

741

(100.0)

1,214(100.0)

3.2 학교유형별 식품위생안전인식

학교유형별 식품위생안전인식에 대한 결과는 표2와 같다.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은 일반 고등학생 4.34 특성화 고등학생 4.12로 학교 유형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품위생안전인식에 대한 문항 중에서 가장 점수가 높았던 항목으로 학교 유형에 관계없이 식품위생 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농축수산물은 안전하다고 생각한다’는 문항은 일반 고등학생 3.34 특성화 고등학생 3.35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가공식품은 안전하다고 생각한다’에서도 일반 고등학생 3.10 특성화 고등학생 3.19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쉽다’는 일반 고등학생 3.09, 특성화 고등학생 3.26,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는 일반 3.22, 특성화고 3.35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는 일반 고등학생 3.52 특성화 고등학생 3.53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는 일반 2.81, 특성화고 3.17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식품위생안전인식에 대한 문항 중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척도가 다른 문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 고등학생과 특성화 고등학생 모두에서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식품안전에 대한 김 등의 연구[7]에서도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는 비율이 높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성화 고등학생에 비해 일반 고등학생이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특성화 고등학생의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도 보통으로 나타나 식품위생안전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3.3 식품위생안전인식의 빈도분석

식품위생안전인식에 대한 빈도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일반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3.8%, 그렇다 16.8%, 매우 그렇다 18.0%인데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12.1%, 그렇다 24.2%, 매우 그렇다 23.1%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학교유형에 관계없이 식품위생안전은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는데 빈도분석에서는 특성화 고등학생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쉬운가’에 일반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16.8%, 그렇다 10.8%, 매우 그렇다 1.9% 이었고, 특성화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29.2%, 그렇다 15.5%, 매우 그렇다 5.9%로 유의적으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이 정보를 얻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김 등의 연구[9]에 의하면 식품위생 및 안전성에 대한 교육을 받은 학생은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를 획득하려고 하지만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식품안전교육도 중요하지만 정보제공방법도 고려해야 할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도 일반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11.0%, 그렇다 18.2%, 매우 그렇다가 6.8%인데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24.4%, 그렇다 22.5%, 매우 그렇다 10.5%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어 등이 연구[16]한 패밀리 레스토랑 직원들의 식품 위생 및 안전 지식에 의하면 정기교육을 이수한 그룹이 식품위생 및 식품안전 영역에 높은 점수를 보여 정기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의 효과를 입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는가’에 일반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17.5%, 그렇다 10.4%, 매우 그렇다는 3.4%였고, 특성화 고등학생은 그저 그렇다 28.7%, 그렇다 15.8%, 매우 그렇다 7.7%로 유의적으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이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는가’에 일반고생은 그저 그렇다 15.0%, 그렇다 6.3%, 매우 그렇다는 2.5%였고, 특성화고생은 26.6%, 그렇다 14.3%, 매우 그렇다 6.4%로 유의적 빈도 차이를 보였다. 학교유형별 차이는 없었던 문항이지만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농축수산물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에 그렇다 28.6%, 매우 그렇다는 9.6%였고,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는 가공식품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가’에 그렇다는 23.5%, 매우 그렇다는 7.7%에 불과하였다. 김 등[9]의 연구에서도 우리나라에서 생산·유통되고 있는 식품이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순 등[17]도 중국이나 한국의 소비자들이 자국의 식품 생산과정의 위생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고, 식품 생산과정의 위생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제조자의 위생적인 식품 생산 및 정부의 식품 위생․안전제도의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는가’에 일반 고등학생은 그렇다 15.5%, 매우 그렇다는 4.8%로 특성화 고등학생은 그렇다 21.8%, 매우 그렇다는 8.8%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이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수 있다고 응답하였지만 두 집단 모두 낮은 비율로 답하여, 자신 있게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3.4 식품위생안전인식의 상관분석

식품위생안전인식의 상관분석 결과는 표4와 같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쉽다’의 상관계수 r=-0.113,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의 상관계수 r=-0.109 로 약한 음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식품위생안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우리나라 판매 유통 농축수산물(r=.197)과 가공식품(r=.075)은 안전하다고 생각하고, 식품안전정보를 얻기 쉽다’ (r=.125),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r=.441),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r=.150),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298)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품안전정보를 얻기 쉽다는 학생은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r=.311),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r=.534),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439),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588)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학생은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r=.344),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374),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26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는 학생은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r=.662),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504)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품을 위생적으로 다룰 자신이 있다는 학생은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r=.473)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약한 상관관계이지만 유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위생안전이 중요하며(r=.123),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r=-0.136), 농축수산물(r=-.075)이 안전하지 않고,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다고(r=-.126) 답하였다.


Table 2. Food hygiene and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by school type

Survey questionnaire

school type

number

mean±standard deviation

significant probability

I think that the food hygiene safety is important

Academic high school

473

4.34±0.03

0.000

Specialized high school

741

4.12±0.03

total

1,214

4.21±0.02

I think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Academic high school

473

3.34±0.04

0.810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35±0.03

total

1,214

3.34±0.02

I think processed food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Academic high school

473

3.10±0.04

0.091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19±0.03

total

1,214

3.15±0.03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food safety.

Academic high school

473

3.09±0.04

0.002

Specialized high school

740

3.26±0.03

total

1,213

3.19±0.03

I think the school‘s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needed.

Academic high school

473

3.73±0.04

0.065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64±0.03

total

1,214

3.67±0.03

I am confident in selecting safe food,

Academic high school

473

3.22±0.04

0.018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35±0.03

total

1,214

3.30±0.03

I am confident in dealing with food hygienically.

Academic high school

473

3.52±0.04

0.846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53±0.03

total

1,214

3.53±0.03

I am receiving enough education about food safety.

Academic high school

473

2.81±0.05

0.000

Specialized high school

741

3.17±0.04

total

1,214

3.03±0.03

Table 3. The frequency of food hygiene safety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type of school

Survey questionnaire/significant probability

Responses

frequency (%)

Academic high school

Specialized high school

total

I think that the food hygiene safety is important

 

Not at all

2(0.2)

7(0.6)

9(0.7)

Not so much

3(0.2)

12(1.0)

15(1.2)

So so

46(3.8)

147(12.1)

193(15.9)

Yes

204(16.8)

294(24.2)

498(41.0)

0.000

Strongly agree

218(18.0)

281(23.1)

499(41.1)

I think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Not at all

10(0.8)

14(1.2)

24(2.0)

Not so much

45(3.7)

69(5.7)

114(9.4)

So so

231(19.0)

382(31.5)

613(50.5)

Yes

150(12.4)

197(16.2)

347(28.6)

0.231

Strongly agree

37(3.0)

79(6.5)

116(9.6)

I think processed food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Not at all

21(1.7)

28(2.3)

49(4.0)

Not so much

82(6.8)

105(8.6)

187(15.4)

So so

225(18.5)

374(30.8)

599(49.3)

Yes

119(9.8)

166(13.7)

285(23.5)

0.070

Strongly agree

26(2.1)

68(5.6)

94(7.7)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food safety.

 

Not at all

20(1.6)

16(1.3)

36(3.0)

Not so much

95(7.8)

110(9.1)

205(16.9)

So so

204(16.8)

354(29.2)

558(46.0)

Yes

131(10.8)

188(15.5)

319(26.3)

0.001

Strongly agree

23(1.9)

72(5.9)

95(7.8)

I think the school's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needed.

 

Not at all

3(0.2)

9(0.7)

12(1.0)

Not so much

33(2.7)

36(3.0)

69(5.7)

So so

134(11.0)

296(24.4)

430(35.4)

Yes

221(18.2)

273(22.5)

494(40.7)

0.000

Strongly agree

82(6.8)

127(10.5)

209(17.2)

I am confident in selecting safe food,

 

Not at all

11(0.9)

15(1.2)

26(2.1)

Not so much

83(6.8)

92(7.6)

175(14.4)

So so

212(17.5)

349(28.7)

561(46.2)

Yes

126(10.4)

192(15.8)

318(26.2)

0.045

Strongly agree

41(3.4)

93(7.7)

134(11.0)

I am confident in dealing with food hygienically.

 

Not at all

8(0.7)

8(0.7)

16(1.3)

Not so much

40(3.3)

67(5.5)

107(8.8)

So so

179(14.7)

294(24.2)

473(39.0)

Yes

188(15.5)

265(21.8)

453(37.3)

0.491

Strongly agree

58(4.8)

107(8.8)

165(13.6)

I am receiving enough education about food safety.

Not at all

42(3.5)

38(3.1)

80(6.6)

Not so much

142(11.7)

128(10.5)

270(22.2)

So so

182(15.0)

323(26.6)

505(41.6)

Yes

77(6.3)

174(14.3)

251(20.7)

0.000

Strongly agree

30(2.5)

78(6.4)

108(8.9)

  

Table 4. Pearson correlation of food hygiene safety' awareness of high school students by school type

 

 

 grade

I think that the food hygiene safety is important

I think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I think processed food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food safety.

I think the school's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needed.

I am confident in selecting  safe food,

I am confident in dealing with food hygienically.

I am receiving enough education about food safety.

 gender

 gender

 Pearson correlation

 1

 

 

 

 

 

 

 

 

 

 p

 

 

 

 

 

 

 

 

 

 

 N

 1214

 

 

 

 

 

 

 

 

 

I think that the food hygiene safety is important

 Pearson correlation

 -.010

 1

 

 

 

 

 

 

 

 

 p

 .716

 

 

 

 

 

 

 

 

 

 N

 1214

 1214

 

 

 

 

 

 

 

 

I think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Pearson correlation

 -.045

 .197(**)

 1

 

 

 

 

 

 

 

 p

 .120

 .000

 

 

 

 

 

 

 

 

 N

 1214

 1214

 1214

 

 

 

 

 

 

 

I think processed foods that are sold in Korea is considered safe.

 Pearson correlation

 -.026

 .075(**)

 .750(**)

 1

 

 

 

 

 

 

 p

 .371

 .009

 .000

 

 

 

 

 

 

 

 N

 1214

 1214

 1214

 1214

 

 

 

 

 

 

It is easy to obtain information on food safety.

 Pearson correlation

 -.113(**)

 .125(**)

 .524(**)

 .545(**)

 1

 

 

 

 

 

 p

 .000

 .000

 .000

 .000

 

 

 

 

 

 

 N

 1213

 1213

 1213

 1213

 1213

 

 

 

 

 

I think the school's food hygiene safety education is needed.

 Pearson correlation

 -.009

 .441(**)

 .309(**)

 .272(**)

 .311(**)

 1

 

 

 

 

 p

 .746

 .000

 .000

 .000

 .000

 

 

 

 

 

 N

 1214

 1214

 1214

 1214

 1213

 1214

 

 

 

 

I am confident in selecting safe food,

 Pearson correlation

 -.054

 .150(**)

 .506(**)

 .489(**)

 .534(**)

 .344(**)

 1

 

 

 

 p

 .060

 .000

 .000

 .000

 .000

 .000

 

 

 

 

 N

 1214

 1214

 1214

 1214

 1213

 1214

 1214

 

 

 

I am confident in dealing with food hygienically.

 Pearson correlation

 -.050

 .298(**)

 .414(**)

 .338(**)

 .439(**)

 .374(**)

 .662(**)

 1

 

 

p

 .082

 .000

 .000

 .000

 .000

 .000

 .000

 

 

 

 N

 1214

 1214

 1214

 1214

 1213

 1214

 1214

 1214

 

 

I am receiving enough education about food safety.

 Pearson correlation

 -.109(**)

 .014

 .448(**)

 .486(**)

 .588(**)

 .264(**)

 .504(**)

 .473(**)

 1

 

 p

 .000

 .615

 .000

 .000

 .000

 .000

 .000

 .000

 

 

 N

 1214

 1214

 1214

 1214

 1213

 1214

 1214

 1214

 1214

 

 gender

 Pearson correlation

 -.020

 .123(**)

 -.075(**)

 -.136(**)

 -.107(**)

 .034

 -.129(**)

 -.036

 -.126(**)

 1

 p

 .484

 .000

 .009

 .000

 .000

 .231

 .000

 .212

 .000

 

 N

 1214

 1214

 1214

 1214

 1213

 1214

 1214

 1214

 1214

 1214

*: p〈 0.05    **: p〈 0.01

 4. 결과 및 고찰

고등학교 학생의 식품위생안전 인식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유형별 고등학생의 식품위생안전인식에서 ‘식품에 대한 안전이 중요하다’는 문항이 4.21로 가장 높은 척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생이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식품위생 안전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식품위생 전반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는 일반 고등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생들이 유의적으로 얻기가 쉽다고 하였는데 이는 실습 등 체험위주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하면서 습득할 기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정보의 전달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특성화 고등학생이 안전한 식품을 고룰 자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농축산물(50.5%)과 가공식품(49.3%)의 안전은 그저 그렇다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안전에 대해 신뢰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학교 내 식품위생 안전교육이 필요하다(40.7%)와 매우 필요하다(17.2%)는 응답이 많은 것은 안전한 식품을 고를 자신이 있다(37.3%), 매우 있다(13.6%)의 응답에서 나타난 것과 일맥상통하는 결과라 할 수 있었다. 특성화고 학생들은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는가에 대해 평균 3.17로, 일반고 학생들의 평균 2.81에 비해 높았으나, 전체 대상자들이 그저 그렇다 3.03로 답해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아, 식품안전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상관분석 결과 학년이 올라갈수록 ‘식품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쉽다’,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다’와는 약한 음적 선형관계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식품위생안전이 중요하며 우리나라에 판매 유통되고 있는 가공식품과 농축수산물이 안전하지 않고, 식품안전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식품위생안전인식에 대한 연구 결과 특성화 고등학생과 일반 고등학생들 대상 차별적 교육을 통해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품소비생활에 직접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식품위생안전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References

 [1] Hyundai Research Institute, “Safety consciousness condition and Policy task”, Pending issue and Task, Vol. 14, No. 40, p. 1, 2014.

 [2] Seoul city, department of Food Safety, “2015 Seoul city's Food Safety management implement plan”, pp. 1-3, 2015.

 [3] S. H. Cho, D. M. Choi,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students of technical high school on fire safety, -Focusing on skills student in the Seoul metropolis”, T.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0, No. 3, pp. 107-112, 2006

 [4] K. E. Lee, H. S. Jung,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afety education system for technical high schoo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Vol. 26, No. 3, pp. 169-183, 2013.

 [5] S. S. Park, J. Y. Chang, S. Y. Ham, “Survey on actual and recognition of food safet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Vol. 19, No. 2, pp. 33-46, 2008.

 [6] B. B. Choi, “Studies on food safety knowledge of college student according to mass-media impact”, Korean J. Food & Nutr. Vol 24, No 2, pp. 166-172, 2011.

   DOI: http://dx.doi.org/10.9799/ksfan.2011.24.2.166

 [7] J. M. Kim, N. S. Koo, “Concerns for food safety and safety and the HACCP of college student in Daeje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0, No 3, pp. 665-675, 2011.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1.20.3.665

 [8] N. S. Koo, J. M. Kim,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hygien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8, No 3, pp. 769-773, 2009.

   DOI: http://dx.doi.org/10.5934/KJHE.2009.18.3.769

 [9] M. R. Kim, H. C. Kim, “Awarenes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regarding food hygiene and safety of college students in Yeungnam regi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22, No. 2, pp. 305-314, 2012.

[10] J. Y. Lee, K, D. Kim,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reserv. Vol. 16, No. 6, pp. 999-1007, 2009.

[11] Y. M. Jeon, “On the foodservice customer recognition of food safet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 13, No. 4, pp. 243-255, 2007.

[12] H.-S. Choi, “Comparison of Hygiene Behavior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Adul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4, pp. 315-322, Aug. 2015.

[13] E. J. Yoon, S. H. Seo, “Differences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food safety based on behavioral intention to prevent foodborne illnes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Vol. 28, No. 2, pp. 149-158, 2012.

   DOI: http://dx.doi.org/10.9724/kfcs.2012.28.2.149

[14] Y. H. Hong, C. H. Lee, C. M. Yim, “Safety awareness of students by age”,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Vol. 10, No 1, pp. 175-193, 2014.

[15] H. E. Soon, “A survey on attitudes of toward food hygiene safety and awarences of HACCP of high students”, Graduate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 77-93, 2006.

[16] G. H. Eo, M. H. Hahm, “A Study on restaurant workers' knowledge about food hygiene and safety”,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 15, No. 2, pp. 268-281, 2009.

[17] S. Xiaoqing, H. C. Kim and M. R. Kim, “Analysis on awareness and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regarding food hygiene and safety of university students in Shandong province”, Chin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 23, No. 2, pp. 153-170, 2013.


김 숙 희(Suk-Hee Kim)               [종신회원]

•1990년 2월 : 서울대학교 가정학석사

•1996년 2월 : 서울대학교 이학박사

•2008년 1월 ~ 2009년 7월 :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방문학자

•1996년 3월 ~ 2010년 2월 : 혜전대학교 호텔조리외식계열교수

•2010년 3월 ~ 현재 : 혜전대학교 식품영양과 교수

<관심분야>

영양학, 단체급식, 기능성 식품


정 경 희(Kyung-Hee Joung)             [종신회원]

•2005년 2월 : 청운대학교 관광통상경영학과(경영학석사)

•2010년 2월 : 공주대학교 식품공학과 (공학박사)

•2005년 3월 ∼ 현재 : 청운대학교 호텔조리식당경영학과 겸임교수

•2007년 3월 ∼ 현재 : (주)바이오폴리텍 연구개발부 소장

 

<관심분야>

한식조리, 가공학, 기능성 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