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

 

서의정1*, 김윤희2

1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2은가비아동발달센터

 

A Study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Language Delayed Infants.

 

Eui-Jung Seo1*, Yun-Hee Kim2

1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ojeong College

2Eungabi Child Development Center Director

 

 

요  약  본 연구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및 환경구성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E아동발달센터에 재원중인 만3세 유아 3명(남아 2명, 여아 1명)을 대상으로 각 연령 별 발달을 고려한 주제를 각각 선정하여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행하였다. 언어중재는 1주에 1회 50분씩 총 25회에 거쳐 실시하였고, 어휘는 요리동사 및 명사가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그림 어휘력검사(PPVT-R),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RLA) 및 표현언어(ELA) 발달 검사(PRES)를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에게 실시한 결과 어휘력, 수용언어, 표현언어, 통합언어 모두 정상언어발달수준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만3세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활동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요리활동은 유아의 능동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 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언어능력을 신장 시킬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Language intervention through cooking activity programs is designed to provide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and improv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he field of teaching. This program addresses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ree three-year-old infants (M;2, F;1) in the Center in Seoul. A cooking topic suitable for the age of this group was selected. The language Intervention was conducted for 50 minutes per week for a total of 25 times, and made use of vocabulary, verbs and nouns related to cooking which were evenly distributed. In this study, the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vised (PPVT-R), receptive language age (RLA) and expressive language age (ELA), and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fter the study, the cooking activity was accomplished with normal development outcomes appearing in the ability of vocabulary, receptive language, expressive language, and integrated language. There is now a solid evidence base supporting the efficacy of cooking activity in producing positive outcomes i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language delayed infants. Consequently, cooking can induce their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extend their language abiliti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Keywords : Cooking activity,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vocabulary, language intervention

1. 서 론

언어는 아기의 출생과 함께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욕구를 울음으로써 표현하며, 점차 미소나 사람 응시하기와 같은 사회적인 상호작용 행동들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이러한 행동들은 비의도적인 반사적인 행동들이지만 점차 발달해 감에 따라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즉, 의사소통적 힘을 가지고 있는 행동들이라 볼 수 있다. 언어는 사고와 의사소통의 방법이며 감각을 통한 상징체계의 하나이다. 언어는 교육과정의 주요 경험들과 분리되어 있지 않고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활동적인 학습으로 이끌어지고 직접 경험과 구체적 활동으로 제시 되어져야 한다.[14]

언어학적 언어의 정의를 살펴보면 첫째, 언어는 상징과 문법적인 기호이며, 둘째, 언어는 한 사회성원이 공유하는 상징과 문법적인 기호를 가지며, 셋째, 언어는 사회성원이 공유하는 상징과 문법적인 기호의 체계를 지니며, 넷째, 언어는 사회성원이 공유하는 상대적으로 변하는 상징과 문법적인 기호의 체계를 말하며 마지막으로 언어는 사회성원이 공유하고 시간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하는 상징과 문법적인 기호의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10]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영아의 언어발달 단계를 살펴보면, 생후 12개월에 첫 단어를 산출하여 한단어로 말하기 시작하고, 18개월이 되면 두 단어를 연결하여 말하게 되는데, 이때부터 문장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2∼3세가 되면 어휘뿐만 아니라 모국어의 형식과 의미를 파악하고 문장으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그러나 또래 유아에 비해서 1년 이상 언어발달이 지연되는 경우 언어발달지연 유아로 진단한다[19].

언어발달지연이란 지능 및 신체적 발달에 문제가 없으나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 발달에 있어서 또래 유아들보다 12개월 이상 지연을 보이는 유아를 가리켜 말할 수 있다. 언어발달지연이 된 유아들은 지연된 형태로 언어를 사용하거나 비정상적인 언어규칙으로 언어를 사용한다[6]. 언어발달지연이 되는 유아들의 언어발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문론에서 일반 유아들과 비교해 볼 때 제한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둘째, 의미론에서 일반 유아들과 비교해 볼 때 흔히 사용하는 단어를 상기하는 데 어려움을 가지며, 새로운 언어를 사용한다. 셋째, 화용론에서 일반 유아들과 비교해 볼 때 구문론 및 형태론의 결함으로 인해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

유아의 언어발달은 추상적인 경험으로 발달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조작을 통하여 발달되므로 교사는 유아에게 새로운 단어나 문장을 가르치기 위하여 모아놓고 이야기를 통하여 활동을 전개하는 수동적인 태도보다 실제로 움직여보고 구체적 사물을 가지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5]. 현대 유아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던 [11]도 실제 구체적 사물을 가지고 감각을 통하여 학습을 시작해야 하며 보편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학습이 진행되어야 함을 주장하였으며 감각 교육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된다고 하였다.

[17]는 인지발달 단계에서 유아는 적극적인 활동과 탐색을 통하여 학습 한다고 하였다. 유아는 그들 자신과 주변 세계를 적극적으로 탐색할 때 논리적 사고능력이 점차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친숙한 활동은 언어발달에 도움이 되며 그 일환으로 음식과 요리활동경험은 유아가 적극적으로 활동과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일어날 일을 예건하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논리적 사고과정의 한 부분이 된다.

[1]에서 요리활동이란 어떤 요리를 할 것인지 계획하고 이야기 나누고 재료준비, 탐색, 직접 만들기, 맛보기, 정리 정돈하는 일련의 과정을 유아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전개하는 활동이다. [7]은 요리활동의 의의로서 언어생활 영역에서는 다양하고 새로운 어휘 습득과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을 들었고, 요리활동에 있어서 언어는 없어서는 안 될 매체로 언어가 사용됨으로써 요리활동이 발전적으로 전개된다고 주장하였다[8].

[4]에서 요리활동은 유아들이 가정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가치 있는 활동으로 식재료와 요리 방법에 대한 대화를 통해 단어와 어휘 사용에 대한 수준을 짐작할 수 있으며 유아들은 요리활동에서 만들어진 요리작품에 대해 느낌과 생각을 자연스럽게 설명하면서 언어 표현력이 발달하게 된다.

실질적인 요리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어휘력 및 언어능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음식재료의 명칭(빵, 햄, 버터, 달걀 등), 주방도구의 명칭(국자, 냄비, 거품기 등), 요리과정에서 익힐 수 있는 동사․부사․형용사(굽다, 넣다, 끄다, 녹다 등), 공통적 범주어(과일, 야채, 곡식), 음식물의 형태(싱싱하다, 버터를 바른), 시간에 대한 어휘(천천히, 빨리, 지금, ~때까지), 비교와 대조(~과 같다, ~과 다르다 등)등이 있다[15]. 

따라서 언어발달 지연을 보이는 유아들에게 요리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계성을 선행 연구들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4]과 [9]은 통합적 요리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언어 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유아들에게 구체적 체험활동인 요리활동과 통합적 연계활동은 표현어휘 수의 증가, 문장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풍부하고 다양한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활동이라고 보고하였다.

[16]는 음식과 요리활동은 유아의 모든 감각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유아는 재료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음식의 모양, 색, 크기 등을 묘사하고, 논리적 사고를 하는 등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또,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상대방과 의견을 나누면서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게 되고 요리활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언어발달은 음식물의 명칭, 도구의 명칭, 요리과정, 공통적 범주, 음식물의 여러 형태, 시간에 대한 표현, 비교와 대조, 도움을 요청하는 표현 등을 배울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들이 흥미를 가지고 음식 재료를 탐색하고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매우 적합한 활동이다. 또한 재료를 하나하나 만져보고 재료의 특징과 요리 과정에서 다양하게 습득할 수 있는 어휘력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교수학습 및 환경구성을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위의 목적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수용언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통합언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아동발달센터에 재원중인 만3세 유아 3명(남아 2명, 여아 1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의 현재 지능 및 언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 검사(K-ABC)와 그림어휘력검사(PPVT-R),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RLA) 및 표현 언어(ELA) 발달 검사(PRES)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대상유아의 특성은 다음의 내용과 같다.


Table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gender

life age

K-

ABC

PPVT-R

PRES

RLA

ELA

CLA

A

child

female

35

month

(2.11)

97

±9

2.0-2.5

(9point)

22

month

18

month

20

month

B

child

male

32

month

(2.8)

106 

±9

2.0-2.5

(11point)

21

month

17

month

19

month

C

child

male

34

month

(2.10)

101 

±9

2.0-2.5

(8point)

20

month

16

month

18

month


2.2 측정도구

본 연구 대상의 어휘력 및 수용언어(RLA), 표현 언어(ELA) 그리고 통합언어(CLA)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의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1) K-ABC :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지능검사는 Kaufman(1984)부처가 정보처리이론을 바탕으로 제작하고 문수백․변창진이 한국-표준화 작업을 한 K-ABC를 사용했다. 검사의 구성요소는 인지처리과정척도 10개 항목(동시처리, 비언어성, 순차처리)과 습득도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PPVT-R : Peabody Picture Vocabulary Tress-Revised


또한 수용 어휘 능력 측정을 위해서 그림 어휘력검사(PPVT-R)를 사용하였다. 검사의 구성은 품사별로 명사(57%), 동사(20%), 형용사(12%), 부사(1%)로 구성되어 있고 범주별로는 동물, 건물, 음식, 가구, 가전제품, 신체부위, 직업, 도형, 식물, 학교 및 사무실의 비품, 가구 및 장치, 악기, 교통기관에 관한 어휘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문 항수는 1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PRES :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수용언어(RLA)와 표현 언어(ELA) 그리고 통합언어(CLA)를 측정하기 위해서 2003년에 김영태 · 성태제 · 이윤경에 의해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도구는 2세 ~ 6세까지의 정상유아 및 언어발달지체나 장애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유아들의 언어발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검사도구로 검사 영역은 크게 수용언어와 표현 언어로 나누어져 있다. 

검사 내용은 수용언어(RLA) 및 표현 언어(ELA) 영역 각 45개씩 총 90개 문항과 각 영역 15개의 언어발달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단계는 6개월에서 4세까지는 3개월 간격으로, 4세 1개월부터 6세 6개월까지는 6개월 간격으로 나뉘어져 있다. 검사 문항은 인지개념 및 의미론적 언어능력, 조음 및 구문론적 언어능력, 그리고 화용론적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3 연구절차

본 연구는 요리활동의 언어중재가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2015년 9월 21일부터2016년 4월 22일까지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2.3.1 사전검사

사전검사는 연구자와 언어병리학을 전공한 석사 이상으로 현장경력이 5년 된 언어치료사가 2015년 9월 21일부터 10월 2일까지 대상유아들에게 표준화 작업이 된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 검사(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 K-ABC)와 그림 어휘력검사(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ivised), 표준화 작업이 된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 언어 발달 검사(PRES)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Test)를 실시하였고 검사자 간 일치도 측정 결과 93%의 신뢰로운 결과가 나타났다.

2.3.2 실험처치

본 실험은 대상유아에게 2015년 10월 5일부터 2016년 4월 8일까지 주 1회 실시하였으며, 1회기 당  활동 소요시간은 50분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유아들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유아들의 특성 및 발달에 적합한 교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유아들의 발달적 수준에 적합한 조리형태의 난이도와 복합성을 고려하고,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쉽고 재미있게 요리활동을 할 수 있는 친숙한 주제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검증을 위해 [Figure title 1]과 같이 총 7단계의 교수적 수정단계를 기초로 [Table 2]에 제시된 세부적인 회기별 프로그램 내용을 편성․운영하였으며, 실제 활동예시는 [Table 3]과 [Table 4]에 제시된 바와 같다.


1system

 

Should teach cooking to selected activity

 

Infant level consideration

 

 

 

 

2system

 

To learn the language selection list

 

Each infant level consideration

 

 

 

 

3system

 

Explore Cooking ingredients

 

Card and real

 

 

 

 

4system

 

To examine ways to make

 

To see flow diagram

 

 

 

 

5system

 

Get into the real cooking activity

 

To stimulating language

 

 

 

 

6system

 

To evaluate your cooking

 

To express in Language

 

 

 

 

7system

 

Organize cooking activity

 

Expressing and accept an acquired language in everyday life to get at?

Fig. 1. The teaching steps of cooking activity


Table 2. The system of cooking activity contents

inning

cooking name

Acquired language

1

Fruit Skewers

Strawberry, Apple, Banana, Dish, Thomas, Knife, Stick, Insert, Cut, Eat

2

Sweet potato gyeongdan 

Sweet potato, Milk, Mayonnaise, Dish, Bowl, Castella powder, Cocoa powder, Sieve, Spoon, Ball, Detach, Roll, Round, Brush, Embody, Eat, Round

3

Three Colors fruit shakes

Strawberry, Banana, Blueberry, Milk, Cup, Mixer, Bark, Cut, Put, Lid, Cover, Push, Spin, Put out, Pour

4

Fried popcorn

Corn, Butter, Frying pan, Spoon, Salt, Fire, Lid, Hot, Put, Grow, Aromatic, Delicious, Fry, hard

5

Boiling eggs

Egg, Pot, Water, Salt, Dish, Fire, Hot, Put, Cover, Light up, Put out, Hatch

6

Baking cookies

Cookie mixes, Butter, Egg, Oven, Dish, Bowl, Scoop, Mould(Name-Bear, Rabbit, Dog, Giraffe, Butterfly), Put, Stir, Pour, Light up, Put out, Wait, Pull, Embody, Chop

7

Little Pizza

Tortilla, Pepper, Onion, Sausage, Cheese, Dish, Ketch up, Oven, Raise, Sprinkle, Unfold, Embody, Light up, Put out, Pull, Embody

8

Shape sujebi

Dough, Mould(Name-Triangle, Quadrangle, Circle, Star, Hart), Pot, Meat broth, Ladle, Bowl, Fire, Push, Chop, Put, Hot, Boil, Float, Embody, Eat

9

Fruit salad 

Apple, Banana, Raisin, Oriental melon, Cherry tomato, Pear, Mayonnaise, Bowl, Scoop, Dish, Fork, Knife, Thomas, Embody, Put, Cut, Salty, Stir, Mix, Float, Eat

10

stick stick Rice Cake Skewers 

Bar rice cake , Marinade, Dish, Frying pan, Brush, Fire, Stick, Cover, Insert, Put, Bake, Turn, Pull, Hot, Embody

11

Numbers shape Tteokbokki

Number name, Rice cake, Fish cake, Gochujang, Soy Sauce, Ketch up, Sugar, Paprika, Thomas, Knife, Bowl, Pot, Fire, Scoop, Fork, Put, Cut, Stir, Hot, Spicy, Salty, Sweet and sour, Sweet, Chop, Take out of, Eat

12

Shape rice balls 

Rice, Carrot, Cucumber, Paprika, Ham, Laver, Beef, Mould(Name), Agglomerate, Put, Push, Push, Mix, Embody, Eat

13

Little pancake

pancake powder, Milk, Syrup, Frying pan, Oil, Butter, Ladle, Overturn, Fire, Dish, Hot, Float, Pour, Boil, Turn, Pull, Raise, Sprinkle, Cover

14

Little Hotdog

Sausage, Bread, Mayonnaise, Dish, Frying pan, Oil, Butter, Stick, Roll, Cover, Push, Bake, Fire, Hot, Pull

15

Three Colors Kalguksu

Dough, Color name, Pot, Knife, Ladle, Thomas, Fire, Cut, Boil, Put, Egg, Welsh onion, Pumpkin, Float, Embody, Pull

16

Four Colors gyeongdan 

Sweet potato, Milk, Mayonnaise, Dish, Bowl, Castella powder, A white lotus powder, Cocoa powder, Sweet pumpkin powder, Detach, Roll, Round, Brush, Embody, Eat

17

Vegetable Skewers 

Carrot, Paprika, Sweet potato, Cucumber, Stick, Bowl, Crab stick, Cherry tomato, Vegetable color name, Insert, Cut, Eat

18

Fruit Patbingsu

Ice, Fruit can, Watermelon, Cherry tomato, Cherry, Blueberry, Adzuki beans, Ice machine, Bowl, Evaporated milk, Syrup, Grind, Spin, Put, Cut, Cold, Raise, Embody, Eat

19

 Cold rice pizza

Rice, Pepper, Onion, Sausage, Cheese, Dish, Ketch up, Oven, Raise, Sprinkle, Unfold, Embody, Light up, Put out, Pull, Embody

20

 Sandwich

Morningbread, Egg, Ham, Cheese, Lettuce, Jam, Dish, Spoon, Cover, Put, Insert

21

French toast

Bread, Egg, Butter, Oil, Whisk, Bowl, Knife, Thomas, Mould, Cut, Break, Put, Stir, Wet, Pull, Hot

22

Numbers Country cookies 

Cookie mixes, Butter, Egg, Oven, Dish, Bowl, Scoop, Mould(1 ∼ 10), Chop, Put, Stir, Pour, Light up, Put out, Wait, Pull, Embody, Eat

23

Little Cake

Bread, Fresh cream, Cherry tomato, Strawberry, Blueberry, Bread knife, Dish, Bowl, Whisk, Cover, Raise, Spin, White, Cut

24

Variegated rice balls

Rice, Sesame oil, Salt, Egg Yolk powder, Laver powder, Ball, Scoop, Dish, Rice ball mold form Name learn, Mix, Put, Agglomerate, Push, Push, Embody, Taste

25

Fruit Punch 

Fruit name, Knife, Thomas, Bowl, Cup, Spoon, Drinking water, Cut, Put, Fruit color name, Round, Quarrel, Have three corners, Mix, Pour, Float, Embody


Table 3. The education course of cooking activity

Active name

Fruit skewers

Activity target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names of the ingredients

·That we can do ourselves to have a sense of accomplishment

Material

Strawberry, apple, banana, Dishes, chopping boards, (Bread)knife ,Carl, an apron

Acquired language

Strawberries, apples, bananas, knives, chopping boards, knives, skewers, make it fit, Cut, eat

Activities & order performance methods

① After washing hands, to wear an apron

② To say names and take a look at ingredients

 - What is your (pointing to strawberries) What's your name?

 - Did you ever have to eat?

③ Recipe and matching card

 - (Strawberry and writing, picture by giving him a card written on)

   Where is the fruit like this?

 - What is the name of this fruit?

 - Who shall I put this card next to the fruit?

④ See if order to make while cooking sequence diagram

 - Cooking to talk at painting and order

⑤  Flow chart while watching cooking world of business

 - What shall I start?

 - Skewer was sharp and painful, so let's try to handle it carefully

 - (Strawberry) What can I plug in for next?

⑥ While serving dish must master language to describe

⑦ Place the dishes on a tray and that complete and investigate

⑧ Viewed in its language, cook to sample after completing

Table 4. Expected vocabulary list

List of languages

expected

Achild

Bchild

Cchild

Understand

Imitative 

words

Helpful 

words

Understand

Imitative 

words

Helpful 

words

Understand

Imitative 

words

Helpful 

words

Strawberry

 

 

 

 

 

 

 

 

 

Apples

 

 

 

 

 

 

 

 

 

Banana

 

 

 

 

 

 

 

 

 

Dish

 

 

 

 

 

 

 

 

 

Cutting board

 

 

 

 

 

 

 

 

 

Knife

 

 

 

 

 

 

 

 

 

Skewer

 

 

 

 

 

 

 

 

 

Put

 

 

 

 

 

 

 

 

 

Cut

 

 

 

 

 

 

 

 

 

Eat

 

 

 

 

 

 

 

 

 

Put in

 

 

 

 

 

 

 

 

 

Give me strawberry

 

 

 

 

 

 

 

 

 

Give me an apple

 

 

 

 

 

 

 

 

 

Give me a banana

 

 

 

 

 

 

 

 

 

Sandwich is strawberry

 

 

 

 

 

 

 

 

 

Sandwich is an apple

 

 

 

 

 

 

 

 

 

Sandwich is a banana

 

 

 

 

 

 

 

 

 

Cut 

strawberries

 

 

 

 

 

 

 

 

 

Cut an

apple

 

 

 

 

 

 

 

 

 

Cut a banana

 

 

 

 

 

 

 

 

 

Serve on a plate

 

 

 

 

 

 

 

 

 


2.3.3 사후검사

본 연구의 언어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처치가 종료된 후, 2016년 4월 11일부터 4월 22일까지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 도구인 K-ABC와 그림 어휘력검사(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ivised), PRES 및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3. 연구결과

3.1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어휘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Table 5. The compared before/after scores of infant's vocabulary via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A

child

B

child

C

child

Before

21

month

31

month

17

month

After

89

month

99

month

80

month

  


대상유아별 변화에 있어서 대상유아 A는 사전검사 시 어휘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21%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89%로 향상되었고, 대상유아 B는 사전검사 시 어휘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31%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99%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유아 C는 사전검사 시 어휘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7%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80%로 향상되었다.

대상유아 모두 주로 알고 있는 어휘력은 명사 위주였으나,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동사, 형용사, 부사의 어휘력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범주별로 동물, 음식, 가구, 가전제품, 신체부위, 도형, 식물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중재 초기에는 범주어로 물어 보았을 때는 표현하지 않았으나, 중재 후기에는 주어진 요리 재료를 보고 범주어를 표현할 수 있었다. 1회기에 실시한 과일꼬치에서 딸기, 사과, 바나나를 보고 선뜻 ‘과일’이라는 범주어를 표현하지 못하였는데, 17회기 야채 꼬치를 할 때에는 주어진 야채를 보고도 ‘야채’라는 범주어를 표현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실시하기 전보다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냈고 어휘력이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3.2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수용언어에 미치는 영향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수용언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Table 6. The compared before/after scores of infant's receptive language ability via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A

child

B

child

C

child

Before

22

month

21

month

20

month

After

41

month

44

month

40

month

 


대상유아별 변화에 있어서 대상유아 A는 사전 검사 시 수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22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1개월로 향상되었고, 대상유아 B는 사전검사 시 수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21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4개월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유아 C는 사전검사 시 수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20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0개월로 향상되었다. 

대상유아 모두 부정어와 일상 사물 이름 이해 정도의 수용언어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나,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 실시한 후 같다/다르다 이해, 길이개념이해, 과거/현재진행 문장이해 및 <행위자+목적+행위>문장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실시하기 전보다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냈고, 수용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3.3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표현 언어에 미치는 영향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표현 언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Table 7. The compared before/after scores of infant'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via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A

child

B

child

C

child

Before

18

month

17

month

18

month

After

39

month

40

month

38

month


연구 대상 유아별 변화에 있어서 대상유아 A는 사전 검사 시 표현 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8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39개월로 향상되었고 대상유아 B는 사전검사 시 표현 언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7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0개월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유아 C는 사전검사 시 표현 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6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36개월로 향상되었다.

대상유아 모두 주로 단어 위주의 언어표현능력을 보였으나,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행위자+목적+행위>문장으로 언어표현이 가능해 졌으며  관형어가 포함된 문장 사용 및 등위절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자기가 경험한 사건 즉, 요리활동시간의 사건을 기억하여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1회기에 실시한 과일꼬치 만들기 시간에 대상유아들과 중재자의 이야기를 발췌한 것이다.

중 재 자 : (딸기를 가리키며) “이 과일 이름이 뭘까?”

대상유아 A B C : “딸기”

중 재 자 : “먹어 본 적은 있니?”

대상유아 A B C : (고개를 끄덕이며) “응”. “네”.

다음은 22회기에 실시한 숫자 나라 쿠키 만들기 시간에 대상유아들의 이야기를 발췌한 것이다.

중 재 자 : (모양틀을 가리키며) “무엇이 보이는지 이야기 해 볼까?”

대상유아 B : “숫자요. 나 숫자 알아요. 1, 2, 3...”

대상유아 A : “나도 숫자 알아. 1, 2, 3, 4, 5...”

대상유아 C : “엘리베이터에 있다”

대상유아 B : “우리집 엘리베이터에 있는데...”

대상유아 A : “나도 봤어. 숫자가 많아.”

중 재 자 : “또 어디에 숫자가 있을까?”

대상유아 C : “아빠 차 뒤에 숫자 있어요.”

대상유아 A : “그건 번호판이야. (시계를 가리키며)시계에 숫자가 있어요.”

결과적으로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실시하기 전보다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냈고, 표현 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3.4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통합언어에 미치는 영향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통합언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Table 8. The compared before/after scores of infant's integrative language ability via cooking activity as a language intervention

 

A

child

B

child

C

child

Before

20

month

19

month

18

month

After

40

month

42

month

38

month


연구 대상 유아별 변화에 있어서 대상유아 A는 사전 검사 시 통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20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0개월로 향상되었고, 대상유아 B는 사전검사 시 통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9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42개월로 향상되었으며 대상유아 C는 사전검사 시 통합언어능력이 동일 연령 일반 유아에 비해 18개월 수준이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38개월로 향상되었다.

대상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시작하면서 요리에 관한 질문이 증가하였고,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느낌을 언어로 표현하는 빈도가 늘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변화되는 요리과정에 흥미로움을 느끼며 자신이 만든 음식에 만족해하며 엄마에게 자신이 만든 요리를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23회기에 실시한 꼬마 케이크 만들기 시간에 대상유아들의 이야기를 발췌한 것이다.

대상유아 B : “케이크는 생일 때 먹는데...”

대상유아 A : “그래, 맞아. 그런데 만드니깐 좋다.”

대상유아 C : “나는 아까(어제) 먹었는데...”

대상유아 A : “그래? 그럼 내가 두 개 만들어야지”

대상유아 C : “안돼, 내꺼야. 내가 만들 거야.”

위의 예처럼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 후반부에서는 대상유아들이 자연스럽게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주고받기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토대로 언어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대상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 실시하기 전에는 본인들의 이름으로 표현하였지만, 회를 거듭할수록 ‘나’, ‘내가’를 이름대신 사용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를 실시한 후 실시하기 전보다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냈고 통합언어능력이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4.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는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어휘력 및 의사소통 빈도를 증가 및 형태를 변화시켰으며, 언어능력 향상이 정상수준으로 나타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관련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리활동이 언어발달 지연을 나타내는 유아들에게 어휘력 및 수용언어 향상에 큰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대상유아 모두 사전검사결과에 비해 어휘력이 평균 66%, 수용언어가 평균 20개월 정도 향상 되었으며,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으로 나타났는데 [2, 16]는 요리활동이 재료와 도구를 실제 사용하는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음식물의 이름, 도구의 이름, 공통적 범주 등의 어휘력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15]에서는 요리활동 프로그램을 통하여 음식과 도구의 명칭, 요리 과정과 활동의 명칭, 공통적 범주, 음식물의 여러 형태, 시간에 대한 표현, 비교와 대조 등 요리 표에 의존하여 실시함으로 인해 요리표 읽기의 기회가 증가하고 이는 그림과 글자가 함께 제시된 요리활동 순서표를 읽는 기회가 증가하고 동기가 증진된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요리활동이 언어발달 지연을 나타내는 유아들에게 표현 언어 향상에 큰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대상유아 모든 사전검사결과에 비해 평균 21개월 정도 향상 되었으며,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내면서 표현 언어가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4, 9]는 요리활동과 같은 구체적인 체험활동을 통하여 표현어휘 수의 증가와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또한 그림책을 활용한 창안적 요리활동은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며 언어표현력의 표현 어휘수, 문장수, 문장길이의 3가지 하위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3].

셋째, 요리활동이 언어발달 지연을 나타내는 유아들에게 통합언어 향상에 큰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차이는 있었지만 대상유아 모든 사전검사결과에 비해 평균 21개월 정도 향상 되었으며, 언어발달지연에서 또래 간의 비교 결과 정상수준을 나타내면서 통합언어가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요리활동 시간에 유아가 했던 것을 토의하고, 질문하고, 제안하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은 지각적 언어능력과 분석적 언어능력, 자료와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종합하는 종합적 언어능력을 더욱 향상 시키고 추리적 언어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2, 12, 13, 18].

그리고 음식을 활용한 요리활동은 유아의 모든 감각의 사용을 통해, 재료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음식의 모양, 색, 크기 등을 묘사하고, 논리적 사고를 하는 등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며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상대방과 의견을 나누면서 언어능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16].

본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해 보면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요리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에게 친숙함과 흥미를 유발하고, 언어발달을 촉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가 언어발달지연을 보이는 유아의 언어능력에 긍정적이며 적절하고 매우 의미 있는 효과적인 활동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론 및 논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대상유아들이 1회기 당 50분 정도 요리활동을 통한 언어중재 활동만을 실시하였으나 다른 다양한 활동과의 연계와 함께 사후활동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실험기간동안 아동발달센터에서만 활동이 제한되었으나 부모교육이나 부모참여활동 등을 통해 기관과 가정과의 연계성 있는 활동으로 진행한다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되며, 교육기관 유형의 다양성과 대상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한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언어발달지연 유아 세 명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모든 언어발달지연 유아에게 일반화하여 해석하는데 한계점을 보이며, 연구자와 대상 유아만 참여하였기에 일반적인 또래 집단이나 다른 곳에서 상호작용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여부는 단정 짓기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또래 집단에서 적용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References

 [1] Kim Ju min.,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the unbalanced diet of young children.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3.

 [2] Kim Chun hui., (The) Effect of cooking activities on kindergartener's language abil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97.

 [3] Park Gil su. ,The Effect of Invented Cooking Activities on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nd Scientific Process Skill Ability,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9.

 [4] Oh Yeong hui, Hong Yeon hong., An Effect of Integrated Coo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Ability & Language Expression. Domestic journal articles, vol.  26, 2009.

 [5] Lee Sun jong. Sahoegeuk, Impact activities on social and verbal expression of children,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95.

 [6] Lee Jin gyeong., Analysis on the Screening and Needs of Chid-Care and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elayed. Korea Bible University Child Education Graduate, 2011.

 [7] Jeon Gyeong won., Ensure opened cuisine, changjisa, 2001.

 [8] Jeong Gyeong ja., Cooked dishes based on active teaching strategies and actions shape the type of infant verbal interaction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0.

 [9] Hong Yeon hong., An Effect of Integrated Cook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Ability & Language Expression, Pai Chai University graduate. 2010.

[10] Cokely, d., & baker-Shenk, C., American Sign Language.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Press. 1991.

[11] Comenius, J. A. The great didaetic of John Amos Comenius, Edited and translated by M. W. Keativge, N. Y. : Russell and Russell. 1967.

[12] DahlK., Why cooking in the curriculum? Young Children, vol. 53, no. 1, pp.81-83, 1998.

[13] Garner, P. W., Jones, D. C., & Miner. J. L., Social competence among low-income preschool: Emotion socialization practices and social cognitive correlates. child development, 65, pp. 622-637, 1994.

   DOI: http://dx.doi.org/10.2307/1131405

[14] Hohmann, M., banet, B. & Weikart, D., Young children in action, High Scope Press, Ypsilanti, Michigan, Eric Ed 481 497, 1979.

[15] Macfee, o., Cooking and eating with children : A way to learn, Washington, D. C. : Association for Childhood Education, 1974.

[16] Mayesky, M., Neuman, D. & Wlodkowski, R. J.,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3rd ,ed. N. Y.: Delmar Pub. Inc. 1985.

[17] Piaget, J., The language and the thought of the child. N. Y. : Harcourt, Brace & World, Inc, 1959.

[18] Sanfor, A R., Willianms, J. M., James, J. C. & Overton, A. K. A planning guide to the preschool curriculum, Kaplan-Press, Winston-Salem, N. C. 271 303, 1983.

[19] Stark, R., & Tallal, P., Selection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eficit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 vol. 46, no. 2, pp. 114-122, 1981.

   DOI: http://dx.doi.org/10.1044/jshd.4602.114


서 의 정(Eui-Jung Seo)                   [정회원]

•2000년 2월 : 우석대학교 교육학 석사

•2006년 2월 : 전북대학교 교육학박사

•2010년 9월 ~ 현재 : 서정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

 

<관심분야>

유아교육평가, 유아교사교육


김 윤 희(Yun-Hee Kim)                 [정회원]

•2015년 3월 ~ 현재 : 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박사과정

•2011년 4월 ~ 현재 : 은가비아동발달센터 센터장

•2014년 10월 ~ 현재 : 은가비심리예술평생교육원 대표

 

<관심분야>

유아심리, 부모교육